행복한 농어촌, 함께하는 KRC

활기차고 행복한 농어촌을 만듭니다. 농업분야 ESG를 선도하는 글로벌 공기업 KRC

어촌 39

[농촌체험여행 웰촌🎒] 12월, 어디로 가지? 농촌체험마을vs어촌체험마을

12월, 어디로 가지? 농촌체험마을vs어촌체험마을 체험 프로그램이 있는 마을로 여행가보셨나요? 12월에도 농어촌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농촌과 어촌 중 여러분은 어느 곳을 더 선호하시나요? 둘 다 가고 싶다고요? 그래서 한국농어촌공사과 농촌과 어촌의 추천 체험마을을 모두 가지고 와봤어요!😉 함께 알아보도록 해요 :) 개실마을 개실마을은 조선시대 사화를 피해 온 후손들이 모여든 곳으로, 사진과 같이 검은색 기와를 얹고 있는 집들이 많이 보인다고 합니다. 오랜 시간 동안 기품을 잃지 않은 선비의 모습처럼 고상하다고 해요. 낙동강으로 합류하는 안림천을 앞에 두고 있는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마을로, 규모는 작지만 명당이라고 하는데요. 이곳에서는 엿만들기, 떡메치기, 유과만들기 등의 다양한 체험..

농어촌에 풍덩 2022.12.20

[농어촌에 풍덩💦] 11월 22일, 두 가지 날이라고? 소설과 김치의 날🥬

11월 22일, 두 가지 날이라고? 소설과 김치의 날🥬 농촌의 본격적 겨울이 시작되는 소설! 든든한 겨울을 대비하기 위해 준비하는 김장! 11월 22일은 소설과 김치의 날인데요. 소설과 김치의 날! 과연 어떤 날일까요? 이번 시간, 소설 때의 농촌 풍습을 비롯해 김치의 효능, 보관법까지 모두 알아보도록 해요 :) 그럼, 팔로 미🧡 소설이란? 소설은 24절기 중 20번째 절기로, 이날 첫눈이 내린다고 해 소설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올해는 11월 22일이라고 하는데요. 바로 오늘이죠!😊 태양의 황경이 240도일 때이고, 음력으로는 10월에 든다고 하는데요. 또, 겨울이 시작되는 입동 후 15일, 큰 눈이 내린다는 대설 전 약 15일에 찾아온다고 합니다 :) 그 말은 대설도 얼마 남지 않았다는 거겠죠? 농촌..

농어촌에 풍덩 2022.11.22

[소식이 주렁주렁?] "행복한 농어촌, 함께하는 KRC" 농어촌공사 새 비전 선포

한국농어촌공사는 “행복한 농어촌, 함께하는 KRC”를 새 비전으로 지속가능한 농어촌을 위한 공사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을 위한 5대 전략목표를 발표했는데요. 자세한 내용, 살펴볼까요? 새로운 비전과 전략목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심화되고 있는 식량안보, 기후위기, 도농격차 등에 대응하기 위해 새정부 국정목표에 맞춰 공사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기 위해 설정됐습니다. 한국농어촌공사의 비전 ‘행복한 농어촌’은 시대적 요구인 농어촌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튼튼한 경제, 활기찬 사회, 깨끗한 환경, 농어촌 고유 가치 증진을 반영했으며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 균형발전, 탄소중립, 재생에너지 생산 확대, 식량주권 강화 등을 의미합니다. ‘함께하는 KRC’는 국민적 요구인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 혁신, 전문..

[고잉! 초롱이?]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지역개발

농어촌지역개발 한국농어촌공사는 100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데요. 농지은행사업, 농어촌용수관리사업, 농어업 생산기반 정비사업 등을 하는 공공기관이랍니다. 그럼, 한국농어촌공사는 어떤 사업을 하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일반농산어촌개발 농촌중심지활성화, 기초생활거점조성사업, 시·군역량강화사업 등 다양한 지역개발사업을 통해 농산어촌지역 주민의 소득과 기초생활수준을 높이고, 농촌의 어메니티 증진 및 계획적인 개발로 지역 특화발전을 도모하고 있어요! 어촌종합개발 어촌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어촌이라는 지역 공간을 새롭게 개발해 나가고 있어요! 마을+어장+어항을 연계한 지역개발을 추진하고, 어촌의 유·무형 자원을 활용해 1·2·3차 산업을 융합해 나가고 있답니다. 연안정비 대규모 해안시설 축조와 다양한 ..

[농어촌에 풍덩?] 미끌미끌 촉감에 재미는 2배! 어촌 갯벌체험

미끌미끌 촉감에 재미는 2배! 어촌 갯벌체험 바다의 허파라고 불리는 갯벌-! 우리나라에는 아름다운 갯벌들이 참 많죠. 갯벌이 주는 오묘한 매력에 빠져 찾아가기도 하는데요. 갯벌 속에 살고 있는 게, 짱뚱어, 조개 등과 만나는 것도 하나의 재미랍니다? 오늘은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갯벌을 직접 만지고 경험할 수 있는 어촌 갯벌체험장을 소개해드릴게요 :) 남해 지족갯마을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삼이로24번길 39 ?055-867-1277 천혜의 관광지로 손꼽히는 지족갯마을은 국내 유일의 원시어업인 죽방렴이 행해지고 있는 곳인데요. 창선교에서 보는 일출과 일몰도 무척 아름답다고 합니다. 마을 앞바다에는 섬북섬, 장고섬, 농가섬이라는 이름을 가진 3개의 멋스러운 섬도 있다고 해요. 영등시가 되면 바닷길이 열려 이..

농어촌에 풍덩 2022.07.04

[일상에 꿀 한 스푼?] 배탕~ 파도탕~ 세계문화유산 해녀문화!

배탕~ 파도탕~ 세계문화유산 해녀문화! 화제의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 재밌게 보고 계시나요? 드라마에서 해녀가 매력적으로 비쳤을 텐데요. 해녀도 유네스코 문화유산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해녀가 신비로운 직업이긴 하지만, 세계문화유산인지는 모르고 계셨던 분들이 많았을 거라 생각해요! 해녀에 대해 더 깊이 알아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는데요. 해녀 문화! 어떤지 함께 살펴볼까요? :) 해녀문화란? 해녀는 별다른 기계 장치 없이 맨몸과 오로지 자신의 의지에 의한 호흡조절로 바다에 들어가서 해산물을 채취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여성을 말해요! 다만, 빗창, 갈고리, 호미 등과 같은 도구는 이용합니다. 소라와 전복, 미역, 톳 등을 주로 채취하고 가끔 작살로 물고기를 잡습니다. 해녀는 쉽게 볼 수 없는 ..

[농어촌에 풍덩?] 농업인들이 받을 수 있는 혜택, 무엇이 있을까요?

농업인들이 받을 수 있는 혜택, 무엇이 있을까요? 농어민이 되면 받을 수 있는 혜택들이 많은데요. 세금 감면이나 직불금·수당·연금 등을 받을 수도 있고 농자재를 살 때, 농지를 구입할 때, 집을 지을 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종류의 혜택을 받을 수도 있어요. 정부는 물론 지자체들도 자체적으로 제도를 만들어 농어민들에게 각종 혜택을 주고 있답니다. 법에서 정한 자격 요건 확인하세요 심정적으로는 농촌에 살면 누구나 농민, 농부라 여깁니다. 어촌에 살면 어민 혹은 어부라 생각하죠. 하지만 농어촌 지역에 산다고 모두 농어민은 아니에요. 법에서 정한 농어민의 자격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농림축산식품부 고시 「농업인 확인서 발급규정」 해양부 고시 「어업인 확인서 발급규정」을 통해 자격 요건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농어촌에 풍덩 2022.04.21

[농어촌에 풍덩?] 뭣이 자연산인디!! 수산물의 양식산과 자연산 구분하는 법

뭣이 자연산인디!! 수산물의 양식산과 자연산 구분하는 법 양식산과 자연산, 알다가도 헷갈리지 않았나요? 어떤 의미인지는 알겠지만 수산물을 딱 보고 구분하기에는 쉽지 않죠 :( 그리고, 양식산에 대한 편견도 있는 분들도 있죠. 그래서 한국농어촌공사가 준비했어요! 자연산과 양식산 구분 확실히 하는 법!? 영상을 시청해 보세요❤️

농어촌에 풍덩 2022.03.30

[일상에 꿀 한 스푼?] 이게 바로 K-불꽃놀이다?! 우리나라 농어촌 정월대보름 풍습?(feat. 쥐불놀이와 낙화놀이)

이게 바로 K-불꽃놀이다?! 우리나라 농어촌 정월대보름 풍습? (feat. 쥐불놀이와 낙화놀이) 내일은 바로 정월대보름? 정월대보름이 되면 동그란 달을 보며 소원을 빌곤 하는데요. 혹시 옛날에는 정월대보름이 되면 어떻게 보냈는지 알고 계시는 분 계시나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불꽃놀이부터 쥐불놀이, 그리고 생소한 낙화놀이까지 정말 많았답니다. :-) 선조들의 마음을 빼앗은 전통놀이인 만큼 정월대보름 풍습이 무척 궁금해지는데요. 아름다운 풍경에 입이 나도 모르게 벌어지는 다양한 놀이들! 함께 알아볼까요? 농촌과 어촌의 정월대보름 풍습, 팔로미~? 소원을 빌면 이루어지는 정월대보름??! 정월대보름은 한 해의 첫 보름이자 보름달이 뜨는 날로,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우리나라 고유 명절입니다. 민족 대명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