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농어촌, 함께하는 KRC

활기차고 행복한 농어촌을 만듭니다. 농업분야 ESG를 선도하는 글로벌 공기업 KRC

농촌 127

[농촌체험여행 웰촌🎒] 12월, 어디로 가지? 농촌체험마을vs어촌체험마을

12월, 어디로 가지? 농촌체험마을vs어촌체험마을 체험 프로그램이 있는 마을로 여행가보셨나요? 12월에도 농어촌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농촌과 어촌 중 여러분은 어느 곳을 더 선호하시나요? 둘 다 가고 싶다고요? 그래서 한국농어촌공사과 농촌과 어촌의 추천 체험마을을 모두 가지고 와봤어요!😉 함께 알아보도록 해요 :) 개실마을 개실마을은 조선시대 사화를 피해 온 후손들이 모여든 곳으로, 사진과 같이 검은색 기와를 얹고 있는 집들이 많이 보인다고 합니다. 오랜 시간 동안 기품을 잃지 않은 선비의 모습처럼 고상하다고 해요. 낙동강으로 합류하는 안림천을 앞에 두고 있는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마을로, 규모는 작지만 명당이라고 하는데요. 이곳에서는 엿만들기, 떡메치기, 유과만들기 등의 다양한 체험..

농어촌에 풍덩 2022.12.20

[농어촌에 풍덩💦] 11월 22일, 두 가지 날이라고? 소설과 김치의 날🥬

11월 22일, 두 가지 날이라고? 소설과 김치의 날🥬 농촌의 본격적 겨울이 시작되는 소설! 든든한 겨울을 대비하기 위해 준비하는 김장! 11월 22일은 소설과 김치의 날인데요. 소설과 김치의 날! 과연 어떤 날일까요? 이번 시간, 소설 때의 농촌 풍습을 비롯해 김치의 효능, 보관법까지 모두 알아보도록 해요 :) 그럼, 팔로 미🧡 소설이란? 소설은 24절기 중 20번째 절기로, 이날 첫눈이 내린다고 해 소설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올해는 11월 22일이라고 하는데요. 바로 오늘이죠!😊 태양의 황경이 240도일 때이고, 음력으로는 10월에 든다고 하는데요. 또, 겨울이 시작되는 입동 후 15일, 큰 눈이 내린다는 대설 전 약 15일에 찾아온다고 합니다 :) 그 말은 대설도 얼마 남지 않았다는 거겠죠? 농촌..

농어촌에 풍덩 2022.11.22

[농어촌에 풍덩💦] 농촌에만 있는 직업? 농어촌개발컨설턴트의 모든 것!

농촌에만 있는 직업? 농어촌개발컨설턴트의 모든 것! 농촌에만 있는 직업! 시리즈로 하나씩 알아보고 있는데요. 농촌을 이끄는 직업 중 오늘 소개해 드릴 건 '농어촌개발컨설턴트'입니다. 어떤 직업일지 감이 오시나요? 전체적인 느낌으로는 농어촌 전반을 개발하는 일을 할 것 같은데요. 이번 시간, 초롱이들과 함께 '농어촌개발컨설턴트' 직업을 탐구해 보도록 해요 :) 농어촌개발컨설턴트란? 농어촌개발컨설턴트는 농어촌 사회에 대한 이해와 함께 관련 주체와 원활한 협의를 통하여 농어촌을 발전시키기 위한 조사, 연구, 조정 등을 담당합니다. 농어촌 지역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제반 업무를 수행하죠. 또,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경제적으로 활력 있고 지속가능한 농어촌 발전을 위해 조사, 지역계획수립, 지역개발 컨설팅 등 다양..

농어촌에 풍덩 2022.11.08

[고잉! 초롱이🚘] 시설안전 연구

시설안전 연구 농어촌공사는 농어촌을 안전한 공간으로 보존·정비하기 위하여 어떤 시설안전 연구를 하고 있는지 알고 있어? 알고 말고! 저수지 등 농업기반 시설의 성능평가, 안전관리 및 첨단 재해예방 기술 개발과 일선 현장의 구조·지반공학적 기술지원 등의 업무를 하고 있지! 역시 잘 알고 있네! 그럼 이제 다양한 사례를 보며 함께 알아볼까? 그래. 가보자고! 치수능력확대사업 💧비상방류터널 설치 💧홍수조절시설 보강 💧홍수 예·경보시스템 저수지 하류 지역과 국가중요시설의 대규모 침수피해를 선제적으로 예방해 노후 저수지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고 있어! 시설물 안전진단 인력 접근이 어려운 시설물엔 드론을 활용하고, 지하매설물엔 CCTV 탐사로봇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한 진단기법을 선보이고 있지! 건설현장 안전관리 챗봇..

[소식이 주렁주렁?] 농촌 쓰레기 문제,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농촌 쓰레기 문제,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인간이 발을 붙인 적 없는 화성에 지구촌 쓰레기가 발견됐습니다. 환경오염은 범지구적인 문제입니다. 우리 농어촌이 앞장서 지켜야할 때입니다. 쓰레기가 된 시골 가정의 농자재 추수 뒤 논밭에 방치한 페비닐로 인해 미생물은 살 수 없고 땅은 별들기도 합니다. 가정 내 폐비닐을 소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폐비닐을 태우면 환경호르몬 등 유해 물질과 미세먼지가 발생합니다. 그렇다면 농어촌의 쓰레기 처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쓰레기는 지자체마다 정한 장소에 버려야 하며, 분리수거는 무조건 원칙입니다. 염분이 없는 음식물 쓰레기는 텃밭에 거름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농어촌의 폐기물 처리 알아두기 ✅전자제품이나 가구 등의 생활폐기물은 지자체에서 발행한 스티커를 구입해 붙인 후 ..

[소식이 주렁주렁?] "행복한 농어촌, 함께하는 KRC" 농어촌공사 새 비전 선포

한국농어촌공사는 “행복한 농어촌, 함께하는 KRC”를 새 비전으로 지속가능한 농어촌을 위한 공사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을 위한 5대 전략목표를 발표했는데요. 자세한 내용, 살펴볼까요? 새로운 비전과 전략목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심화되고 있는 식량안보, 기후위기, 도농격차 등에 대응하기 위해 새정부 국정목표에 맞춰 공사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기 위해 설정됐습니다. 한국농어촌공사의 비전 ‘행복한 농어촌’은 시대적 요구인 농어촌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튼튼한 경제, 활기찬 사회, 깨끗한 환경, 농어촌 고유 가치 증진을 반영했으며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 균형발전, 탄소중립, 재생에너지 생산 확대, 식량주권 강화 등을 의미합니다. ‘함께하는 KRC’는 국민적 요구인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 혁신, 전문..

[소식이 주렁주렁?] 농업을 미래성장산업으로, 농촌을 활기찬 공간으로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농업을 미래성장산업으로, 농촌을 활기찬 공간으로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23년도 예산안 : 17조 2,785억 원 ?식량주권 확보와 농가 경영안정 ?농촌 지원강화 및 성장환경 조성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 크게 이 세 가지에 주력하며 나아가고 있는데요. 외부 충력에도 굳건한 식량주권 확보, 매력적인 농촌 공간 조성 및 탄소중립 확산, 두터운 농가 경영안전망 확충, 농촌 사회 서비스 및 동물복지 강화, 청년농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 농산업 융복합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목표로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답니다. 활기찬 농촌을 기대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