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농어촌, 함께하는 KRC

활기차고 행복한 농어촌을 만듭니다. 농업분야 ESG를 선도하는 글로벌 공기업 KRC

전체 글 3398

[농어촌공사이야기📖] 올바른 공문서 작성법 “공고문 쓰기” 편

올바른 공문서 작성법 “공고문 쓰기” 편 올바른 공문서 작성법 “공고문 쓰기” 편 공고문이란 공공기관에서 일정한 사항을 광고, 게시, 또는 다른 공개적 방법으로 일반 대중에게 널리 알리려고 작성하는 문서를 말합니다. 공고문은 전반적인 내용을 상세한 부분까지 정확하게 전달해야 하므로 세밀함과 전달력이 동시에 필요합니다. 개선이 필요한 공고문의 보기와 권장표현을 함께 보며 공고문 바르게 쓰는 법을 익혀봅시다. 공고문 작성 시 고려해야 할 점 1. 알기 쉽게 풀어서 작성했는가? 공고문 작성 시 복잡한 내용을 간결하게 작성하려고 명사 나열식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내용이 지나치게 축약되어 의미가 불분명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2.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새로운 정책 용어를 잘 만들어 사용하고 있는가? 공고문에서 새로..

[일상에 꿀 한스푼🍯] 내 집안의 작은 생태계 ‘테라리움, 비바리움’

내 집안의 작은 생태계 ‘테라리움, 비바리움’ 작년 나혼자산다에서 코쿤의 취미활동으로 소개돼 화제가 되었던 비바리움! 최근에는 김대호 아나운서가 비바리움을 꾸미는 모습이 나와 화제가 되고 있죠. 집안에서 차 한 잔의 여유를 즐기며 즐길 수 있는 취미활동, 우리집의 작은 생태계. 오늘은 테라리움과 비바리움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테라리움과 비바리움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비바리움을 검색하면 함께 나오는 테라리움, 비바리움과 테라리움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테라리움이란? 라틴어의 ‘terra(땅)’와 ‘arium(용기,방)’의 합성어로 습도를 지닌 투명한 용기 속에 식물을 재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리그릇에 흙, 모래, 돌, 이끼, 유목, 장식품 등으로 장식한 후 식물을 넣어 생태계를 구현한 공간을 ..

일상에 꿀 한 스푼 2023.05.08 (2)

[소식이 주렁주렁🍇] 쌀산업 및 농업농촌 발전방안

쌀산업 및 농업농촌 발전방안 '23년 수확기 쌀값 20만 원/80kg 수준이 되도록 수급 안정 대책을 추진 농업직불금 예산을 '24년 3조 원 이상, '27년까지 5조 원 수준으로 확대 농산물 제값 받기와 농업 인력 부족 해결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 추진 쾌적하고 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 전체 농업인의 소득안전과 농업 농촌 미래를 준비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습니다

[농어촌에 풍덩💦] 영농 편의를 지원하는 수자원관리사업

영농 편의를 지원하는 수자원관리사업 영농 편의를 지원하는 수자원관리사업 수자원관리사업 한국농어촌공사관리지역 내 농업수리시설물을 활용하여 영농에 필요한 양질의 용수를 적기·적량 공급함으로써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농업인의 영농편의를 지원하는 대국민 서비스 사업입니다. 노후·파손, 홍수배제 능력이 부족한 수리시설을 개보수하여 기능 개선 등을 통해 안정적인 용수 공급 및 재해 예방을 도모합니다. 사업내용 효율적 사업관리 및 체계적 투자를 위해 재해 대비 개보수, 영농편의 개보수, 안전진단으로 분류하여 사업 시행 수자원관리 거버넌스 구축 국민과 정부의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고 소통 가능한 수자원 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우리 모두가 지켜 나갈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물관리를 실현합니다...

농어촌에 풍덩 2023.05.08

[일상에 꿀 한 스푼🍯]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입하 (立夏)’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입하 (立夏)’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입하에 대해 알고 계시나요? 우리 조상들은 예로부터 각 계절을 여섯 개의 절기로 나눠 총 24절기로 표현한 바 있죠! 오늘은 24절기 중 봄은 완전히 퇴색하고 산과 들에는 신록이 일기 시작하는 '입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입하는 무슨 뜻일까? 입하는 24절기 중 하나로 일곱 번째 절기에 속하며 여름이 시작된다는 뜻과 보리가 익을 무렵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입하가 되면 봄이 완전히 물러가고 산과 들에 녹음이 무르익는 초여름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입하와 농어촌은 어떤 관련이 있을까? 입하가 다가오면 모내기가 시작되어 농가에서는 들로 써레를 싣고 나온다는 말로 입하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농번기에 접어들었음을..

일상에 꿀 한 스푼 2023.05.06 (1)

[농어촌공사이야기📖] 2023 한국농어촌공사의 ESG 경영 2편 -사회-

2023 한국농어촌공사의 ESG 경영 2편 -사회- 지난번 알려드린 ‘ESG 경영 1편 환경에 이어 오늘은 농어촌 공동체를 위한 사회적 가치를 소개하는 사회 편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한국농어촌공사의 농어촌 공동체를 위한 사회적 가치 ① 농어촌 일자리 창출 ② 농촌 활력 프로젝트 ③ 국민의 생명과 행복 안전 지킴이 농어촌의 일자리 창출과 생활 SOC사업을 통한 인프라 개선, 사회적 농업 활성화 등 공동체 회복 노력으로 고령화와 소득기반 약화로 어려움을 겪는 농어촌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또한, 안전한 근로 환경을 조성해 재난·재해로부터 안전한 영농환경을 구축하여 국민의 안전하고 행복한 삶을 만들어갑니다. 한국농어촌공사의 우수사례① 청년농업인 및 농촌융복합산업경영체 지원을 통해 농어촌의 미래를 ..

카테고리 없음 2023.05.04

[농어촌공사이야기📖] 농업기반 시설 안전지킴이 한국농어촌공사 119센터

한국농어촌공사 119센터 농업기반 시설 안전지킴이 한국농어촌공사 119센터 한국농어촌공사 시설물 점검 119센터는 지자체 농업 기반 시설물에 대한 긴급 무상 점검 서비스 지원하고, 공사 시설물의 안전점검 및 재해 발생 시 중앙기술지원단으로 재난관리 대응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기구입니다. 대상 일반 지원 저수지, 양·배수장, 방조제, 농수로 등 농업 기반 시설물로 시설물 점검과 복구 방안을 제시 *저수지 간극 수압 측정 전문기술 지원 터널, 구조, 토질 등을 정밀 분석 *저수지 감세공 옹벽 외관 조사 ✓ 무상점검 서비스를 통한 지난 10년간 1,024개소 시설물 점검 ✓ 급격한 기후변화에 대응 및 시설물 점검 전담 인력 확대 ✓ 드론 등 첨단 장비 운영으로 취약시설에 대한 기술 지원 강화 ✓ 태풍 ·홍..

[농어촌공사이야기📖] 농업생산기반시설 양수장과 배수장

농업생산기반시설 양수장과 배수장 없어서는 안 될 농업생산기반시설 양수장과 배수장 지난 시간에는 어도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황무지를 농경지로 바꾼 '양수장과 배수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늘도 많은 분이 자리해 주셨는데요, 이중에서 혹시 양수장과 배수장에 대해 알고 계신 분 있을까요? 양수장은 낮은 곳에 있는 물을 높은 곳에 있는 농지에 공급하기 위해 펌프와 부속시설을 설치한 곳이고, 배수장은 낮은 곳에 있는 농지의 과잉수를 빼내기 위해 펌프와 부속시설을 설치한 곳입니다. 그러니까 양수장은 논에 댈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고, 배수장은 농작물의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한 시설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네, 맞습니다. 예습을 아주 잘 해오셨네요. 말씀하신 부분들 때문에 양수장과 배..

농어촌공사 이야기 2023.05.03 (1)

[농어촌공사이야기📖]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2023년 한국농어촌공사의 통수식

매년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안전 영농을 기원하고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통수식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통수식은 무엇인지 2023년 한국농어촌공사의 통수식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 통수식이란? 통수식은 한 해 농사를 시작하는 시점에 지난해 겨울부터 닫혀있던 수문을 열고 물을 처음 흘려보내며, 안전하고 풍요로운 영농을 기원하는 행사입니다. ​ ​ 2023년 진행된 한국농어촌공사의 대표적인 통수식 한국농어촌공사는 4월 21일 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아 2023년 수자원관리 업무의 성공적인 수행 및 농어촌용수 관리 전문화를 위해 안전영농과 풍년농사를 기원하는 ‘통수식’을 거행했습니다. ​ ​ 통수식이 진행된 고풍저수지는 충남 서산의 중요한 저수지로 836만㎥ 규모에 고풍리 일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