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농어촌공사
어도설계 기준 제시

어도는 댐이나 보 등의 횡구조물을
수생물이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길이에요.
어도의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지만,
어도 설계 조건에 대응한 세부지침은
관련 부처별로 상이해
어도 수요처 및 현장 실무자들이
혼란을 겪고 있어요.
이에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은
어류 생태 수리실험을 통해
어도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답니다?

어도(魚道)
왜 중요할까요?
국내 하천의 횡단구조물 '보'로 인해
어류 이동이 단절되고 있어요.
전국 어도 설치율은
보 대비 15.2%에 불과한 상황이며,
또 설치된 어도의 약 72%가
홍수로 인한 파손 및 퇴적,
어도설계 미숙 등으로
그 기능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고 있어요.
한국농어촌공사가
어도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이유죠.

맞춤형 어도 찾는
한국농어촌공사
한국농어촌공사의 어류 생태 수리실험은
어도에 대한 수리적, 생태적 적합성을
평가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에요.
물고기 및 하천의 특성에 따라
어도의 구조도 달라야 하기 때문에
실험은 다양한 조건에서 이뤄져요.
설정된 조건에서
어도의 수위, 유속, 흐름의 방향,
물고기의 이동 등을 다방면으로 평가하고 있죠.

어류 생태 수리실험
가이드라인은 어떻게 쓰일까요?
가이드라인은
수리실험 연구의 전반적인 사항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어요.
가이드라인은 국내 하천 및
어종을 위한 맞춤형 어도의 개발 등
어도설계 지침에 반영될 예정이에요.
이처럼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길,
그 길을 한국농어촌공사가
찾아가고 있어요.
변화 살펴보기

수산자원량은 4.2배 증가했고,
수산자원어종 개체수는 2.7배 증가했으며,
어류 이동 효율은 3.3배 증가했어요!

한국농어촌공사는
이러한 결과에 힘입어
더 박차를 가할 예정이랍니다 :)
많은 응원 부탁드려요?

'소식이 주렁주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촌촌늬우스?] 농어촌공사 재해경감우수기업 인증 획득 (0) | 2022.03.25 |
---|---|
[소식이 주렁주렁?] 건설현장 안전관리 챗봇 구축? (0) | 2022.03.24 |
[소식이 주렁주렁?] 농산물꾸러미 사업의 대가! 안동 태무지농원 정양자 씨의 귀농귀띔 (0) | 2022.03.23 |
[소식이 주렁주렁?] 똑똑한 농촌, 살기 좋은 농촌? 농업혁신 이끄는 한국농어촌공사 (0) | 2022.03.22 |
[소식이 주렁주렁?] 공공부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0) | 2022.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