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의
113년 역사를 되짚어보는 시간
타임머신
#근대화 #농촌 #실현 #간척지
계화도내부개답공사


1963년 계화도에 변화의 바람이 불었습니다.
동진강 하구의 대규모 간척공사로 육지와 이어지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1971년 계화도를 곡창지대로 만드는 사업은 중단되었고,
3년이 지난 1974년에서야 대단위 농업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다시 변화가 시작되었습니다.

우리는 계화도 2,500ha의 대지에 141km의 배수로를 설치하고,
10km의 용수로를 설치하여 용수공급을 원활하게 하였습니다.
또 논 4,916필지를 바둑판처럼 구획하여 답작과 전작의 전환을 자유롭게 하였습니다.

이러한 변화 때문에 계화도에서는 기계화 영농이 가능해졌으며,
연간 1만 1,000톤의 쌀 증산효과를 가져올 수 있었습니다.
현재 계화도는 최고 품질의 쌀을 생산하는 황금색 곡창지대가 되었습니다.

계화도 농업종합개발사업은 1970년 정부의 식량증산정책에 따라 3,968ha의 간척지에
내부개답 등의 공사를 추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전천후 농업기반을 조성하는 등 근대화된 시범농촌을 건설하고자 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1971년에 사업이 일시 중단되었다가 1974년 농업진흥공사에 의해
대단위 농업종합개발사업의 하나로 다시 재개되었습니다.

계화도지구 2,500ha에 대한 내부개답공사는 7.7km의 배수간선을 포함한
총 연장 141km의 배수로를 설치하고, 이를 279ha의 저류지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습니다.
내부개답공사는 1977년 12월 완료하였으며 이어 보충수원공사와 보강공사를 추진하여
1979년 사업을 모두 마무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연간 1만 1,000톤의 쌀 증산효과를 가져올 수 있었고
나아가 택지조성과 농촌전화 가설, 농업기계화 사업 등을
추진함으로써 풍요롭고 근대화된 농촌을 구현하게 되었습니다.

'농어촌공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을 밝히는 사람들] 혁신에 도전하는 6명의 챌린저들, 한국농어촌공사 사내벤처 1,2팀(모아팜/탄소제로뱅크) (0) | 2021.10.08 |
---|---|
[뉴노멀하다] ICT 기반 재해예방계측사업으로 농업용 저수지 안전관리 강화 (0) | 2021.10.06 |
[?달려라 초롱이] 활력 넘치는 어촌, 미래를 여는 수산, 함게 즐기는 해양! <8화, 어촌·수산·해양사업 편> (0) | 2021.09.30 |
[?KRC 톡톡] 어촌개발사업, 그땐 그랬지 - 어촌수산처 어촌뉴딜부 김종일 부장 (0) | 2021.09.29 |
[?KRCx방구석툰] 들어는 봤나~ KRC 뉴~~~딜~정책_9화. 자연재해로부터 국민 생명을 보호하고, 재산 피해를 막아주는 재해예방계측사업 (0) | 2021.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