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 속의 물 상태를 진단하는 지하수 관측망
지하수 이용량은 얼마나 되나?
우리나라 강수량은 세계 평균보다 크지만 높은 인구밀도로 인해 1인당 연강수량은 매우 낮으며, 계절적 편차가 크다. 현재 수자원 총량 1,240억 ㎥/년 중에서 이용되는 수량은 337억 ㎥/년 으로 전체의 27 % 로서 하천수 10 %, 댐이용 14 % 그리고 지하수 이용량은 37억 ㎥/년 으로 3% 이다. 이 중 지하수 이용량은 전체 이용량의 11 % 로서 미약하지만 도서, 해안지역 및 가뭄 재해 시 유일한 수원으로 효율적 개발·이용과 합리적 보전·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지하수 관측망 현황
지하수의 효율적 개발·이용과 합리적 보전·관리를 위해서는 지하수의 양적·질적인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체계적인 관측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따라 ‘지하수자원 기본조사’(국토해양부,1995)에서 기본적인 관측망 기본계획(안)을 제시하였고, ‘지하수관리 기본계획(1996)’에서부터 지하수관측망 설치 계획을 수립하여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지하수관측망은 그 목적과 역할에 따라 1차 지하수관측망, 2차 지하수관측망, 일시 지하수관측망으로 구분할 수 있다.
1차 지하수관측망은 국가적, 광역적인 규모의 지하수 정보를 제공하여 지하수 관리 정책을 수립하는 데 이용되는 주 관측소(Key station) 역할을 한다. 지하수 수위 관측을 목적으로 하는 국가지하수관측망과 지하수 수질 관측을 목적으로 하는 지하수수질측정망이 1차 지하수관측망에 속한다.
2차 지하수관측망은 국지적인 지역에 대한 지하수의 변동을 관측하기 위하여 운영되며 지방자치단체에서 설치·운영하도록 하는 보조지하수관측망이 해당된다. 또한 해수침투를 관측하기 위한 해수침투관측망, 농어촌 지하수자원의 수량과 수질변화를 감시하는 농촌지하수관리관측망, 먹는샘물 감시정에서의 지하수위, 수질관측을 위한 먹는샘물관측망이 해당한다.
일시 지하수관측망이란 지하수 프로젝트를 위하여 설치, 운영되는 관측망으로 프로젝트가 끝난 후 1차 또는 2차 관측망에 포함되기도 한다.
국내 지하수관측망은 크게 국토해양부(한국수자원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국가지하수관측망, 지방자치단체(시·군·구)에서 운영하는 보조지하수관측망, 환경부의 지하수수질측정망(국립환경과학원)과 농림수산식품부(한국농어촌공사)에서 운영하는 농어촌 지하수관측망이(해수침투․농촌지하수관리관측망) 있다.
지하수 관측망 운영 현황
해수침투관측망과 농촌지하수관리관측망
해수침투관측망(도서․해안지역 염해 예방을 위한 수량․수질 원격감시 시스템 구축)은 지구온난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 도시화에 의한 지하수 침투량 저하, 지하수 과다이용 등으로 인한 해수침투 현상을 조사하여 염해 예방을 목적으로 1991년부터 제주도를 시작으로 1998년에는 육지부 서․남해안을 대상으로 구축하여 2011년 기준, 제주 56개소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117개소는 농어촌연구원에서 운영하고 있다. 2013년까지 총계획 192개소를 완료 예정이다.
농촌지하수관리 관측망(농촌용수구역 지하수자원의 지속적 개발․이용을 위한 수량․수질 원격감시 시스템 구축)은 농촌용수구역 중 352개를 대상으로 농촌지하수관리조사를 통하여 농촌지하수의 고갈 및 수질오염 방지, 과잉양수에 의한 지반침하 등 지하수자원 보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2011년 기준 84개소를 완료하였다.
농어촌지하수넷 홈페이지 (www.groundwater.or.kr)
해수침투관측망과 농촌지하수관리관측망은 관측망의 변천에 따라 3가지 type으로 분류되며<그림 1>, 관측연도별 실적은 <그림 2>과 같다. 또한 관측망 운영 및 관측자료는 농어촌지하수넷(www.groundwater.or.kr)을 통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실시간으로 각 관측소에서 1시간의 관측주기로 측정되는 지하수위, 온도, 수질(전기전도도) 정보를 농어촌연구원(http://gwrri.ekr.or.kr)에서 수집하고 있다. 특히, 해수침투 관측정보는 매 분기마다 분석결과를 관계기관 및 시·군에 통보하여 해수침투 영향을 알리고 있으며, 관측결과에 대한 활용방안도 제시할 계획이다. 또한 매년 관측망 현장조사 결과 및 수질(양·음이온)을 분석하여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그림1> 농어촌지하수(해수침투, 농촌지하수관리)관측망의 유형
<그림2> 관측망 운영 계획 및 관측연도별 조사실적
또한 지하수관측망의 장기관측으로 지하수위, 전기전도도 및 온도의 연도별 추세분석으로 지역지하수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이 성 희 (연구기획실 연구기획팀), 김 정 희(농어촌환경연구소)
'소식이 주렁주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티즌 홍보대 17차 명단 발표 (0) | 2012.07.27 |
---|---|
네티즌 홍보대 39차 포스팅 선정 결과 (0) | 2012.07.27 |
네티즌 홍보대 38차 포스팅 선정 결과 (0) | 2012.07.20 |
한국농어촌공사 고객대상 경영공시제도 만족도 설문조사 실시 (0) | 2012.07.09 |
네티즌 홍보대 37차 포스팅 선정 결과 (0) | 2012.07.06 |